사장석의 함량비가 높은 지점일수록, 해발고도가 낮고, 경사도가 완만하며, 기복량은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화강암 지형을 형성시키는 암석의 여러 가지 특성 중에서 사장석의 함량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사장석 함량비가 높을수록 지형의 풍화·침식이 활발하게 발생함을 증명하는 것이다.
This indicates that the contents of plagioclas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mong the various factors of bedrock consisting of landform relief in the granite areas and the areas with higher contents of plagioclase have experienced active weathering and erosion processes.
사장석이라는 명칭의 유래는 '경사진 쪼개짐’을 뜻하는 Plagioclase이라는 그리스어에서 비롯되는데, 그리스어 plagios(기울어진)와 klao(파손된/쪼개진 물건)의 합성어에서 기원한다. 암석이 쪼개질 때, 직각으로 쪼개지지 않고 경사져서 쪼개지기 때문에 붙여진 광물 이름이다.
사장석의 함량이 많은 화강암은 화강섬록암이라고 부른다.
장석(長石, feldspar)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규산염 광물의 한 종류로 지각의 51%를 차지할 만큼 흔하고 중요한 조암광물이다.
사장석은 도자기와 종이가공이나 렌즈의 원료, 그리고 연마시킨 면이 아름다운 조회장석은 건축물의 자갈이나 보석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도자기
도자기 원료의 3요소[편집]
흙을 반죽하여 도자기를 만드는 데는 3종의 성질을 가진 원료가 필요하다.
- 반죽할 때에 힘을 가하면 형태가 변하고, 힘을 제거해도 형태를 유지하는 성질 즉, 소성(塑性)이 있어야 한다. 이 소성을 가진 것이 점토인데, 만약 점토가 없다면 건조시킬 때 부서져 버린다.
- 열을 가해 성형된 형태로 고화시킬 때, 흙가루와 흙가루 사이를 굳게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재료가 필요한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장석으로서, 1,000℃ 정도가 되면 장석 속에 들어 있는 알칼리 성분이 녹아서 유리질이 되어 입자와 입자 사이를 메운다. 이 유리질은 약간만 온도가 내려가도 곧 굳어 버리므로 입자와 입자는 굳게 결합된다.
- 또 하나의 원료는 도자기의 본체가 되는 것으로, 만들어진 도자기의 비중이라든가, 어느 정도의 온도에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 등 도자기의 주요 성질을 결정하는 인자가 되며, 석영질의 흙, 즉 규석이 쓰인다. 이 성분이 많이 함유된 도자기는 처음 성형되었을 때의 형태와 구워냈을 때의 형태가 별로 달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점토질의 원료는 구우면 수증기가 빠져나가고, 장석질 원료는 유리화되어 부피가 작아지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소성수축(燒成收縮)이라 부른다.
화산암
마그마가 지표면 밖으로 나와 급히 식으면서 만들어진 암석입니다.
구성광물의 결정이 작습니다.(세립질)
현무암, 아산암, 유문암
반심성암
지하 얕은 곳에서 냉각
휘록암, 섬록반암, 화강반암
심성암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서서히 식으면서 만들어진 암석입니다.
구성 광물의 결정이 큽니다.(조립질)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결정이 큼 | 결정이 작음 | |
어두운색 | 반려암 | 현무암 |
중간색 | 섬록암 | 안산암 |
밝은색 | 화강암 | 유문암 |
출처: https://tipinfo.tistory.com/4401 [INFOTIP]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사무소가 위험수 제거 (0) | 2020.02.04 |
---|---|
낙엽 청소, 눈 청소 외에 블로워의 요긴한 용도 (0) | 2020.01.12 |
농림지역 임업용산지 (0) | 2019.10.26 |
장수풍뎅이 한 마리 1만원.. 곤충이 아니라 가축입니다 (0) | 2019.09.21 |
산초나무 증식과 재배 기술 (0) | 2019.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