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81124044323764
20년 뒤 농업은 두 개의 카테고리로 변화가 예상된다. 하나는 ICT를 활용한 농업의 효율적인 생산이다. 생산-가공-유통-판매-브랜드라는 농업 가치사슬에 비용절감과 편리한 생산이 가미된다. 또 생산의 정밀화와 기능화, 경영혁신이 수반돼 저비용 고효율의 농업 현장으로 변화할 것이다. 여기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과학 기반과 디지털, ICT로 무장한 신인류가 되어야 한다.
다른 하나는 구인류가 농촌에서 살아나갈 방안으로 편리성과 친절, 도시 소비자와 공생하는 방안이다. 관광, 어메니티(amenity), 서비스, 문화를 도시민에게 제공하는 축제와 이벤트 공간을 농산어촌에 만드는 방안이다. 농촌생활의 재미와 감동, 심미성을 증대하고 도시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삶의 질과 자연 속에서 힐링하는 여유를 찾는 생활이다. 도시 소비자는 시골에서 만족과 여유, 편안함을 느끼면서 충전하고 다시 도시로 돌아갈 것이다. 귀농산어촌인은 후자에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용작물의 생산 (0) | 2018.11.25 |
---|---|
고구마는 최근 미세먼지 때문에 불량 제품이 많이 생겼다. (0) | 2018.11.24 |
뽕잎 닭이 먹나요? (0) | 2018.10.31 |
콩-다수확 재배기술 (0) | 2018.10.14 |
음지에서 자라는 식물 (0) | 2018.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