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주민 흩어진 ‘속빈 도시’ 인구 소멸 빠르다

Dahurian Birch 2019. 1. 24. 08:54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32&aid=0002918887&date=20190124&type=1&rankingSectionId=102&rankingSeq=2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해 내놓은 ‘한국의 지방소멸’ 보고서에서 전국 시·군·구의 40%가량은 ‘소멸위험지역’으로 30년 뒤 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소멸위험지역은 65세 이상 인구수가 20~39세 여성의 수보다 2배 이상 많은 곳을 뜻한다. 위험도 순으로 경북 의성, 전남 고흥, 경북 군위 등 89개 지역이다. 인구가 크게 줄어든다는 뜻에서 20개 지역은 ‘축소도시’로 분류됐다. 특히 전북 남원과 경북 상주, 강원 태백 등 8개 축소도시는 가장 발전했던 시기에 비해 인구가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 지방자치단체들은 현실을 부정한다. 인구는 급감하고 있지만 개발사업을 늘려야 주민들이 좋아하고, 인구가 늘어난다고 믿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지방의 어느 도시를 가더라도 외곽에는 늘 새로 짓는 아파트가 올라가고 있다. 소멸위험도시도 예외가 아니다. 인구가 줄고 있는데, 주택개발 등으로 외연을 넓히면 주민들이 드문드문 살게 되면서 각종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사람이 흩어져 있으니 장사는 장사대로 안되고, 생활 필수 시설들도 수익성이 줄어 문을 닫는다. 이는 인구가 다시 빠져나가는 원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