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해 내놓은 ‘한국의 지방소멸’ 보고서에서 전국 시·군·구의 40%가량은 ‘소멸위험지역’으로 30년 뒤 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소멸위험지역은 65세 이상 인구수가 20~39세 여성의 수보다 2배 이상 많은 곳을 뜻한다. 위험도 순으로 경북 의성, 전남 고흥, 경북 군위 등 89개 지역이다. 인구가 크게 줄어든다는 뜻에서 20개 지역은 ‘축소도시’로 분류됐다. 특히 전북 남원과 경북 상주, 강원 태백 등 8개 축소도시는 가장 발전했던 시기에 비해 인구가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 지방자치단체들은 현실을 부정한다. 인구는 급감하고 있지만 개발사업을 늘려야 주민들이 좋아하고, 인구가 늘어난다고 믿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지방의 어느 도시를 가더라도 외곽에는 늘 새로 짓는 아파트가 올라가고 있다. 소멸위험도시도 예외가 아니다. 인구가 줄고 있는데, 주택개발 등으로 외연을 넓히면 주민들이 드문드문 살게 되면서 각종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사람이 흩어져 있으니 장사는 장사대로 안되고, 생활 필수 시설들도 수익성이 줄어 문을 닫는다. 이는 인구가 다시 빠져나가는 원인이 된다.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명래 환경장관 "중국, 우리보다 훨씬 강한 미세먼지 저감조치" (0) | 2019.01.30 |
---|---|
필리핀 수출 쓰레기 곧 오는데..평택 수출 업체는 '영업중단' (0) | 2019.01.27 |
담배꽁초, 생선이 먹는 미세 플라스틱의 주범 (0) | 2019.01.22 |
고기 구운 지 10분, 초미세먼지 농도 97→1013으로 뛰었다 (0) | 2019.01.22 |
왜 닭털 패딩은 없는 걸까? 정답은 새털의 '진화 과정'에 있다 신문A18면 1단 (0) | 2019.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