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81

제국의 미래, 관용

저자 에이미 추아는 역사 속에서 나타났던 페르시아, 로마, 당, 몽골,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 등과 같이 세계의 패권을 쥐고 전지구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던 국가들의 성장과 몰락의 과정을 연구하였다. 역사상 존재했던 세계 초강대국들은 서로 상당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대단히 다원적이고 관용적인 특성을 공통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제국들이 쇠퇴를 맞게 된 원인은 관용의 실종과 외국인 혐오, 그리고 인종적 ·민족적·종교적 '순수성'에 대한 촉구가 그 원인이 되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www.yes24.com/Product/Goods/2952917 제국의 미래 미국을 위시하여 역사 속에서 나타난 초강대국과 앞으로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국가들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책이..

2021.04.14

머위

머위는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도 잘 자라나다. 한 뿌리만 심어도 금방 군락을 이룬다. 그래서 밭둑이나 언덕, 비탈에 심어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도 했다. 산에서 독사에 물렸을 때 응급으로 짓이겨 붙이면 해독이 될 정도로 해독작용이 강하다. 머위는 기침을 멎게 하고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며 간 기능을 강화시켜 준다. 어린 머위 잎을 년간 먹으면 중풍에 걸리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민간에 전해지기도 한다. 쓴 맛이 나는 나물은 오래 씹어 먹어야 좋다. 봄에 머위로 만든 음식을 세 번 이상 해주지 않으면 상좌를 내쫓아도 된다는 농담이 있을 정도로 스님들이 즐겨 드신다. 머위는 사철 좋은 식재료이다. 이른 봄 갓 나온 싹은 겉절이로 해 먹는데, 아주 작은 머위 잎은 데치지 않고 그냥 먹어야 제맛이다. 조금 자라면 ..

2021.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