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 잠겨 모기가 번식하고 말라리아가 확산되는 완벽한 환경 1802년 아이티의 독립 투사 투생 루베르티르는 프랑스 나폴레옹의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군사 작전에 대응하여,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계절 동안 언덕에서 공격하여 모기가 들끓는 해안과 저지대 습지로 몰아넣는 전략으로 상대의 병력이 크게 줄어들면 공격을 퍼부어 쓰러뜨리고, 면역.. 환경 2020.01.29
모기에게 번식을 위한 안식처 로마인들의 정원, 수조, 분수, 목욕, 연못 사랑이 복잡한 송수로 체계와 잦은 홍수 그리고 우연찮게 찾아온 지구 온난화와 맞물려 모기에게 번식을 위한 안식처를 마련해준 셈이었다. 도시 미관을 위해 설치한 요소들이 죽음의 덫이 된 것이다. 144쪽 환경 2020.01.28
언덕 꼭대기의 주택은 미국에서 지위의 상징 기원전 1세기, 로마에서 가장 유명한 학자 중 하나인 바로Varro는 "늪지대 부근의 주민들은 반드시 경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늪지대는 "작디작은 생물들을 낳는데, 이들은 육안으로 볼 수 없지만 공기 중에 떠돌아다니다가 입과 코플 통해 몸속으로 들어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 주 2020.01.28
일찍이 농경을 시작한 지역은 사막화로 문명이 붕괴하는 비극적 운명을 맞이했다. 하지만 중국의 농경 문화를 지탱해준 두 작물, 벼와 대두는 자연을 별로 파괴하지 않는다. 논에 벼를 재배할 경우 산을 타고 상류에서 흘러온 물로 영양분을 보충할 수 있다. 이 때 남은 미네랄과 유해물질은 물에 씻겨 내려간다. 그 덕분에 같은 농경지에서 매년 농사를 지을 수 있다. 대.. 사 2020.01.27
16세기 섬나라 일본은 영국에 비해 6배 많은 인구를 부양했다. 오늘날 벼는 종자 대비 120-140배의 수확량을 얻지만 밀은 20배 정도의 수확량밖에 얻지 못한다. 쌀은 양질의 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비타민과 미네랄도 풍부해 균형 잡힌 식품으로 인정받는다. 쌀에 부족한 영양소는 염기성 아미노산의 일종인 라이신(Lysine)이다. 라이신을 풍부.. 사 2020.01.27
지진 행동 요령 1995년 한신아와지(고베) 지진 때, 사망 원인의 46%는 가구 및 가전제품과의 충돌, 17%는 유리 및 금속 파편에 의한 것으로 집게된 바 있다. 지진의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체, 특히 머리를 보호하고 지진의 진동이 멈춘 후 지정된 대피로를 통해 대피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 1. 지진 .. 안전관리 2020.01.23
카르스트는 슬로베니아의 크라스Kras 지역에서 유래된 독일어 바위가 물에 녹아 만들어진 지형을 카르스트라고 한다. 단양 고수동굴, 삼척 환선굴, 베트남 하롱베이, 중국 계림, 중미 벨리즈의 블루홀은 바다 밑에 녹은 공간이 더 파랗게 보이는 카르스트 지형이다. 환경 2020.01.23
밀랍 진액의 채취원 꿀벌은 나무에서 고무질의 진액을 채취해 밀랍을 만든다. 그런 다음 이 밀랍을 벌통의 내부에 발라서 감염을 예방한다. 직액의 채취원은 사시나무와 포플러, 자작나무, 느릅나무, 오리나무, 마로니에, 버드나무, 소나무, 전나무 등등 화합물질들을 분비해내는 수십 종의 나무들이다. 벌은.. Bee Keeping 2020.01.20